옥히스 약제과/INJECTION

*알프로딜주*정주용 프로스타글란딘E₁ 제제*알프로스타딜*

옥히스 2020. 5. 17. 18:57
반응형

안녕하세요 옥히입니다!~

알프로딜주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알프로딜주 [부광약품주식회사]

[원료약품 및 그 분량] 1ml 중

 유효성분 : 알프로스타딜(USP) --5.0μg

 첨가제(유화제) : 정제란인지질(별규)(동물유래성분, 기원동물 : 닭, 사용부위 : 난황) --19.8mg

 첨가제(유화제) : 콩기름(KP) --110mg

 첨가제(안정(화)제) : 올레산(NF) --2.4mg

 첨가제(등장화제) : 농글리세린(KP) --22.1mg

 첨가제(pH조정제) : 수산화나트륨(KP) --적량

 첨가제(pH조정제) : 염산(KP) --적량

 첨가제(용제) : 주사용수(KP) --적량

 

[성 상]

 무색투명한 유리앰플에 균질한 흰색의 유탁액이 들어있는 앰플 주사제

 

[효능, 효과]

 1. 만성동맥폐색증(버거씨병, 폐색성동맥경화증)에 있어서 사지궤양, 안정시 통증의 개선

 2. 다음 질환에 있어서 피부궤양의 개선 : 진행성전신성경화증, 전신성홍반성낭창
 3. 진동병에 있어서 말초혈행장해에 수반하는 자각증상의 개선 및 말초순환, 신경, 운동기능장해의 회복
 4.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에서의 동맥관의 개존
 5. 당뇨병에서의 피부궤양의 개선
 6.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에서의 조영능의 개선
 7. 혈행 재건술후의 혈류유지

 

[용법, 용량]

1. 만성동맥폐색증(버거씨병, 폐색성동맥경화증), 진행성전신성경화증, 전신성홍반성낭창, 진동병, 당뇨병성

  피부궤양의 경우 :통상 성인 1일 1회 1-2밀리리터(알프로스타딜로서 5-10마이크로그람)를 그대로 또는

  수액에 혼합하여 서서히 정주, 또는 점적정주한다.
  증상에 따라 적의 증감한다.
2.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의 경우 :
  수액에 혼합하여 처음에 알프로스타딜 5ng/kg/분으로 지속정주하고, 이후 증상에 따라 적의증감하고

  유효최소량으로 한다.
3.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에서의 조영능 개선의 경우 :
  통상 성인에는 1회 1밀리리터(알프로스타딜로서 5마이크로그람)를 생리식염액 10밀리리터에 희석하고,

  조영제 주입 30초 전에 3~5초간에 걸쳐 경 카테터로 상장간막동맥내에 투여한다.
4. 혈행 재건술후의 혈류유지의 경우 :
  통상 성인에는 1일 1회 2밀리리터(알프로스타딜로서 10마이크로그람)를 수액에 혼합하여 점적정주한다.

 

[사용상의 주의사항]

1. 경고
 1) 동맥관 의존성 선천성 심질환(신생아)에 투여할 경우에는 이 약의 투여로 인한 무호흡발작이 나타날 수

  있으므로 호흡관리설비가 있는 시설에서 사용한다.
 2)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,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

 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, 특히 어린이,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 할 것.

2.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.
 1) 중증의 심부전 환자(심부전의 증강이 나타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.)
 2) 출혈(두개내 출혈, 소화관출혈, 객혈 등) 환자(출혈이 조장될 우려가 있다.)
 3)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(‘7.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’ 항 참조)
 4) 이 약 및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

3.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.
 1) 심부전 환자(심부전의 증강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.)
 2) 녹내장, 안압상승이 있는 환자(안압이 상승될 우려가 있다.)
 3) 위궤양의 합병증 및 병력이 있는 환자(병력이 있는 환자에게서 위출혈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.)
 4) 간질성 폐렴 환자(간질성 폐렴이 악화될 수 있다.)
 5) 신부전 환자(신부전이 악화될 수 있다.)
 6) 출혈경향이 있는 환자(출혈을 조장될 우려가 있다.)
 7) 항응고약(와르파린 등) 또는 혈소판기능을 억제하는 약물(아스피린, 염산티클로피딘, 실로스타졸 등),

  혈전용해제(유로키나제 등)를 투여받고 있는 환자(‘6. 상호작용’ 항 참조)
 8) 경 상장간막동맥성 문맥조영에 사용할 경우, 중등도의 식도정맥류가 있는 환자(문맥압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다.)

 

[저장방법]

밀봉용기, 동결을 피해 5℃ 이하에서 차광하여 보관

 

 

반응형